Blog blog = new Korea()

Til 35

[NHN Academy] 부트캠프 수료 후 회고

📝 학습 목록 자바 기초 과정 자바 프로그래밍 심화 IDE 및 빌드툴 개념 및 사용법 TDD 및 클린 코드 몹 프로그래밍, 페어 프로그래밍 HTML, CSS, JavaScript를 통한 간단한 뷰 구현 네트워크 개념 및 실습 (with WireShark) Spring Core, Servlet, MVC, Session (with Redis), Security, Boot JDBC, MyBatis, JPA 등등.. 너무 많은 것을 배워서 다 적었는지 헷갈리지만.. 중요한 개념들은 다 적은 듯하다. 😁 그야말로 행운 내가 Advanced Java와 백엔드 과정을 수강하게 된 것은 그야말로 행운이라는 표현이 적당할 것 같다. 내게 개발이라는 분야에 관심을 갖게 해 준 곳이 예술경영지원센터와 스파르타 코딩클럽이라면..

내 이야기(TMI) 2022.12.21

[Java] 자바의 파라미터

📝 파라미터란? 파라미터는 메서드 시그너처 마지막 괄호 안에 들어가는 매개변수를 의미한다. 파라미터를 이용하면 메서드 내에서 파라미터로 받아온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고, 이후 결과를 반환할 수 있다. public class Paramet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parameterMethod(10, "30")); } public static int parameterMethod(int i, String s) { return i + Integer.parseInt(s); } } parameterMethod는 int형 매개변수 i와 숫자로 받은 String형 s를 더한 값을 return하는 메서드이다. 간단한 ..

Java 2022.09.27

[TIL] Slack 알림 연동 작업 + 정처기 공부

🤦‍♀️ Slack 알림 연동 작업 기존에 진행했던 프로젝트에 Slack 알림 연동 작업을 진행하는 중이다. 웹 페이지에서 오류가 나면 오류 메시지를 Slack 알림을 통해 실시간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작업이다. 다만, 순탄치 않다. 현재까지의 작업을 한 번 정리해보면 알 수 있을까 싶어 정리해본다. Spring Boot 설정 - build.gradle implementation 'com.github.maricn:logback-slack-appender:1.4.0' - application.properties logging.slack.webhook-uri: ${SLACK_WEBHOOK_URI} logging.slack.config: classpath:logback-slack.xml - logback-spr..

내 이야기(TMI) 2022.04.13

[TIL] 코드 효율성에 대한 고민(백준 공부..)

📝 백준 공부 요즘 알고리즘 공부를 시작했다. 알고리즘 공부라 해봐야 지금 내 단계에서는 아주.. 쉬운 문제들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아직은 코딩테스트를 준비하기 위함이 더 크다. 그러던 중 오늘 알고리즘을 배우는 의미를 약간 느끼는 것 같아 이렇게 TIL을 적는다. 효율적인 코드. 그리고 그 차이 위 사진을 보면 같은 문제에 대한 답이 메모리와 시간적 차이가 극명하게 보인다. 두 코드의 차이는 고작 출력에 있어서 bufferedwriter를 썼느냐 system.print.ln을 사용했느냐다. 출력 방식을 바꿔주니 훨씬 효율적인 결과를 보여준다. 이 때문에 우리는 알고리즘을 공부하는 거다. 현존하는 코드 속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식을 찾기 위해. 효율적인 코드를 통해 우리는 실생활에서 필요한 기..

내 이야기(TMI) 2022.04.05

[TIL] 스터디 및 정처기 공부

📌스터디 회의 오랜만에 매니저님과 팀원들과 함께 얘기를 나눌 수 있었다. 간단한 안부 인사나 잡담을 마치고 스터디 관련 토크를 진행했다. 이제 다가오는 4월 취업 테마는 '공격적인 지원'. 다들 닥치는 대로 지원해보자고 결정했다. 근데 어떤 회사를 지원하더라도 일단 코딩테스트가 어느 정도 필수적이기 때문에 코테 관련한 스터디가 필요해 보였다. 개인적으로 조금씩 공부하고는 있지만 잘하고 있는지 팁은 없는지 등이 궁금해서 여쭤봤고, 관련 스터디를 한 번 만들어보자는 의견이 나왔다. 아마 4월에 코테 관련한 스터디를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미니 튜터를 하고 싶었는데, 이번에 타이밍을 놓쳤다. 다음 기회가 온다면 한 번 지원해보고자 한다. 📖정처기 공부 오늘은 응용 소프트웨어 기초 기술 관련..

내 이야기(TMI) 2022.03.29

[도전! 정보처리기사!] SQL 공부

📢 SQL이 뭐야? SQL은 국제 표준 데이터베이스 언어인 만큼 대부분의 RDBMS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다. (줄임말은 구글링 😋) 흔히 질의어라고 해석되는데, 사용자들이 DB를 대화식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비절차식 언어를 의미한다. SQL의 특성은 크게 3가지로 DDL, DML, DCL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이는 각각 데이터 정의어(DDL), 데이터 조작어(DML), 데이터 제어어(DCL)이라 부른다. 🙄 DDL? DML? DCL? 그게 뭔데 10덕아! 각 특성을 사전적 의미로 설명하면 스키마나 테이블을 정의하고 어쩌고 저쩌고.. 매우 복잡해지기 때문에 여러분이 한 번에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겠다. SELECT * FROM 학생 WHERE 학과 = '컴퓨터 공학' 어디서 많이 본 구문..

정보처리기사 2022.03.23

[도전! 정보처리기사!] 1일 1챕터 운동

# 정보처리기사에 도전하는 이유.. 내일배움단과 내일배움캠프를 진행하면서 개발과 코딩에 대해서 약간은 알았다고 생각했다. 캠프를 마치고 이것저것 준비하다 보니 뭘 해야 할지 모르는 패닉 상태가 왔었다. 나의 부족한 코딩력을 더 늘려야 할 것만 같았고, 면접을 위한 컴퓨터 사이언스도 공부해야 할 것 같았고, 취업을 위해 이력서와 포트폴리오 작성하는 것도 해야 할 것 같았다. 같았다라기보다는 해야만 했다. 그런데 난 도저히 감을 잡을 수가 없었다. 많은 것을 배웠지만, 무엇을 배웠는지 내 스스로가 이해하지를 못했다. 그래서 방황했던 것 같다. 번아웃도 왔다. 말과 생각으로만 '공부해야지, 공부해야지..' 했었다. 그러다가 이대론 안되겠다 싶어서 친한 개발자 친구에게 조언을 구했다. "프로젝트하던 거 계속 리..

내 이야기(TMI) 2022.03.21

[이슈리포트] 내 생애 첫 배포

우리 프로젝트에서 내가 담당한 파트는 주로 인프라 쪽이었다. 그렇게 나는 첫 배포를 맡아 좌충우돌하며 겨우 성공했었다.. ㅎㅎ 지금부터 첫 배포를 하며 겪었던 이슈들을 적으려고 한다. (AWS를 이용한 클라우드 배포 기준입니다.) # 프론트엔드 배포? 백엔드 배포? 처음 배포를 할 때는 당연히 하나의 서버로 배포하는 것이라 생각했다. AWS EB를 통해 서버 환경을 구성하고 Docker를 실행해서 배포했다. 이 과정에서 정적 파일들(html, js 등)은 EB 생성 시 자동으로 생기는 S3에 담겨 함께 배포됐다. 하지만 이 방법이 순탄하지 많은 않았다. EB로 구성된 환경에서 S3에 접근하지 못해서 자꾸 정적 파일들을 불러오는 데에 오류가 발생했다. 알고 보니 S3에 접근하는 권한 설정이 필요한데 그 설..

Issue 2022.01.26

[AWS] AWS ELB, EB란?

EC2 설명글에 이어 ELB, EB에 대한 글을 적는다. 이번에 EC2, ELB, EB에 대해 좀 더 공부하게 된 계기는 모의면접에서 EB에 관한 질문이 있었다. 내용이 정확히 기억나지는 않지만, EC2와 ELB만으로 서버 활성은 가능한데 왜 EB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물음이었던 것 같다. 얼핏 큰 틀만 알고 있었기에 답변이 되지 못할 거라고 생각하여 답변하지 못했던 나를 반성하며 공부해봤다. 1. ELB (Elastic Load Balancing) ELB는 EC2를 상당히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다. 서버의 트래픽 부하가 클 경우 자동으로 서버를 증설하여 분산하고 서버의 상태를 확인해 상태가 양호한 서버로 통신하게 만든다. 양호한 서버가 없다면 새로이 서버를 만들어서 통신하는 것은 너무나 ..

AWS 2022.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