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blog = new Korea()

Issue 6

[AWS] EC2 접속 간 에러 발생!

🤪 뭐가 문제야? Operation timed out! 최근 Jenkins 관련 공부도 할 겸, K8s 실습도 할 겸 오랜만에 내 고향 aws ec2를 찾아왔다. 오랜만이라 그런가 ssh로 ec2 인스턴스에 접속하는 것부터 낯설었다.. ssh -i {Identity file} {username}@{ip address} 기존에 나는 정석적으로 .pem file로 인증하고 ubuntu에 접속했었다. 그런데 이번에 Jenkins를 공부하면서 본 유튜브 T academy에서 찾은 방법은 ssh 내에 vi를 이용해서 config script를 작성하여 간단히 접속하는 방법이었다. config라는 파일에 미리 서버 접속 정보를 입력하기만 하면 돼서 생각보다 간단했다. ssh {설정한 Hostname} 위처럼 더 짧..

Issue 2023.01.30

[간단 한마디] yml? yaml?

🧐 예전 프로젝트를 보다보니... yml이라는 것이 있고, yaml이라는 것이 있었다. 분명히 둘의 구문은 똑같은데 왜 파일 확장자명이 다른지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그냥 같은 파일로 생각하면 된다고 한다. 왜 그런지 이유를 밝히면, 예전 windows는 정책 상 확장자명이 3글자인데, yaml은 4글자라서 yml로 줄여서 사용했다고 한다. 현재는 확장자명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yaml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참고로 같은 동작을 하더라도 개발자들 사이에서 yaml을 더 선호한다고 하기 때문에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Issue 2022.12.28

[이슈리포트] IntelliJ 어디까지 알고 쓰니? (인텔리제이 극한의 효율화)

우선, 이 글은 이슈라기보다는 누구나 알 수 있지만, 누구는 모를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글입니다. 🤗 🤦‍♂️ 지난날의 나를 반성하며.. 여러분은 IDE(통합 개발 환경)를 쓰는 이유가 무엇인가? 단순히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사용하고 있다면, 앞으로는 그냥 메모장에다가 코딩하시길 바란다. 물론 나부터가 그래야 할 것 같다. IDE를 사용하는 이유는 개발에 관련된 모든 작업을 하나의 프로그램 안에서 처리하는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IDE에는 빌드툴이 내장되어 있고, 원하는 클래스의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도 있으며, 심지어는 가장 사용하기 적당한 클래스를 추천해주기도 한다. 지금까지는 이것만 해도 충분히 만족하면서 살았다. 하지만 어제 NHN 아카데미에서 교육을 들으면서 그..

Issue 2022.10.06

[이슈리포트] Javascript window간 정보 전달

😋 프로젝트 워밍업 현재 나는 NHN academy 백엔드 과정에서 개발 교육을 받고 있다. 최근 1~2달간은 Java의 기초부터 응용까지 상당한 지식들을 교육받을 수 있었고, 이제는 본격적인 프로젝트를 위한 워밍업에 들어갔다. 백엔드 과정이지만 서버를 만들었다고 해서 눈에 보이지는 않는 법..! 기본적인 프론트엔드를 할 수 있어야 내가 만든 서버를 확인할 수 있기에.. 기본적인 프론트 과정을 짧게 진행했다. 그 과정에서 있던 이슈를 적고자 한다. 🤔 부모창? 자식창? 코로나 19 현황 데이터를 통해 일자별, 도시별, 국가별로 정보를 요청한 후 받아서 웹에 출력해주면 됐다. 그 중 도시별, 국가별은 메인에는 오늘 기준의 최종 데이터만을 출력하고, 지역이나 국가의 이름을 클릭하면 각각의 월별 데이터가 출력..

Issue 2022.10.05

[이슈리포트] Docker가 멈췄다.

😥 Docker desktop is shutting down ???!? 오늘 오랜만에 다시 도커를 만지려고 작업 중 초반부터 큰 문제가 발생했다. Docker desktop이 켜지지 않는 것. 그동안 업데이트를 안 한 탓도 있는 것 같고, 최근 동생이 윈도우 시스템에서 뭔가를 만진 것 같은데 그게 영향이 있나 싶기도 하다. (하지만 당황만 하고 있을 순 없지!) 구글링 해보니 꽤 범용적인 에러인 듯했다. 🤔 완전하지 않은 해결.. 우선 가장 쉬운 해결방법을 택했다. 일전에 극단적인 방법으로 시도하다가 윈도우를 싹 날려먹은 기억이 있기 때문에.. 그 방법은 C:\Users\{username}\AppData\Roaming\Docker 해당 경로 내에 'settings.json' 이라는 파일만 지웠다가 재실행..

Issue 2022.04.13

[이슈리포트] 내 생애 첫 배포

우리 프로젝트에서 내가 담당한 파트는 주로 인프라 쪽이었다. 그렇게 나는 첫 배포를 맡아 좌충우돌하며 겨우 성공했었다.. ㅎㅎ 지금부터 첫 배포를 하며 겪었던 이슈들을 적으려고 한다. (AWS를 이용한 클라우드 배포 기준입니다.) # 프론트엔드 배포? 백엔드 배포? 처음 배포를 할 때는 당연히 하나의 서버로 배포하는 것이라 생각했다. AWS EB를 통해 서버 환경을 구성하고 Docker를 실행해서 배포했다. 이 과정에서 정적 파일들(html, js 등)은 EB 생성 시 자동으로 생기는 S3에 담겨 함께 배포됐다. 하지만 이 방법이 순탄하지 많은 않았다. EB로 구성된 환경에서 S3에 접근하지 못해서 자꾸 정적 파일들을 불러오는 데에 오류가 발생했다. 알고 보니 S3에 접근하는 권한 설정이 필요한데 그 설..

Issue 2022.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