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blog = new Korea()

스파르타코딩클럽

[스파르타코딩클럽] 내일배움캠프 1차 프로젝트 팀 회고

newkr 2021. 10. 1. 20:35
728x90

# 오늘 발표회를 참여한 소감

 전체적으로 자극을 많이 받은 것 같다. 우리 앞에 발표한 팀들이 생각보다 높은 퀄리티를 구현했고, 그것에 감탄 반, 자극 반을 동시에 느꼈다고 했다. 또한, 소감을 서로 공유하면서 팀 분위기가 한층 더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졌다.
 이렇게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분위기 속에서 회고를 진행했다.

# KEEP: 지속할만한 장점

  1. 코드 리뷰(설명)
    •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가장 좋았던 점!
    • 본인이 맡은 작업 부분의 코드 내용을 공유, 어떻게 작성했는지 과정과 함께 설명
      (구체적인 클래스 객체를 선택해서 변수를 읽어왔다 등으로 진행하면 가장 이상적!)
    • 모르는 부분도 함께 언급하며, 집단 지성 이용하기
  2. 본인이 배운 걸 적극적으로 공유
    • 팀원 중 누군가가 막히는 부분이 있어 도움을 필요로 한다면, 본인이 배웠던 내용 중 활용할 수 있는 방안 제시
      (링크가 있는 경우 링크도 제공)
  3. 끈끈한 분위기 유지
    • 모두의 의견을 존중하고, 즐거운 팀워크 유지
    • 서로 격려하며 부족한 부분은 채워주는 분이기 유지
  4. 서비스에 대해 각자의 코드로 구현
    • 배우는 입장에서 각자의 코드로 구현해보는 기회는 큰 도움이 되었음
    • 약간의 보완사항을 통해 유지한다면 더욱 좋을 것!

# PROBLEM: 해결이 필요한 문제점

  1. 소통의 부재
    1. 프로젝트 첫 4일 간, 우리끼리는 각자의 것에만 집중했고, 서로의 진행사항에 대한 공유가 없었음
    2. 그 외에도 현재 무엇을 하고 있는지, 어디서 헤매고 있는지, 강의는 어떤 걸 듣고 있는지 등
      상세 정보에 대한 것들에도 소통이 부족
  2. (성격 상)적극성 부족
    1. 팀원 모두 유한 성격이라서 그런지 다른 팀원이 의견을 내면 무조건적인 동의가 많았음.
    2. 적극적인 토론이 진행되지 않아, 아이디어나 문제점 해결 시 진전이 크게 보이지 않았음.

# TRY: 개선 및 시도할 부분

  1. 강의 내용 및 진도 공유 + 목표점 지정
    1. 강의 내용과 진도를 서로 공유하며, 하루 전에 다음 날 강의 목표 지점(미션)을 설정하여 학습에 있어서 약간의 강제성 부여
    2. 또한, 전체적으로 지식수준을 비슷하게 만들어주기에 협업 시 소통능력 상승도 기대
  2. 각자의 코드로 구현 시, 체계적인 과정 필요
    1. 각자의 코드로 구현해보는 것이 좋은 활동이기는 했으나, 체계적인 일정이 없다면 시간 낭비가 될 수 있음
    2. 당일 몇 시까지 혹은 내일 오전까지 등으로 시간을 지정하여 내부적인 기한을 설정 후, 상호 간의 코드 리뷰를 통한 아이디어 및 의견 공유 (기간 단축, 최소 기능만 시도해보기)
    3. 이후 프로젝트에 대한 분업 설정
  3. 적극적인 태도
    1. 1차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서로 약간은 가까워짐에 따라 성향을 알고 있기에, 조금 더 적극적으로 의견을 어필해도 될 것 같다는 의견
    2. 적극적인 토론 및 태도를 통해 추가적인 기능 및 기술 아이디어 구상
  4. Github 협업 관리 적극 활용
    1. 발표회 간 12팀 버스타조의 Github 활용 능력을 참고하여 가시적이고 효율적인 협업 관리 시도 필요
    2. 코드 컨벤션 등 현업에서 활용하고 있는 부분들을 찾아보고 적용해보는 방법 또한 오마주하여 시도 필요
  5. 팀원들의 전체적인 수준 상향평준화 시도
    1. 부족한 점을 채우기 위해 팀 미션(강의 수강 목표치) 외에 개인적인 추가 공부도 진행 시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