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WS란?
아마존 웹 서비스(AWS)는 아마존닷컴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부가 담당하는 서비스다. 어마어마한 시장 규모를 자랑하는데,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서 세계 1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AWS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NETFLIX(넷플릭스), 크래프톤, 삼성전자 등이 있고, 수많은 스타트업 기업이 기반 서버로 많이 활용한다. (비슷한 서비스로는 GCF [구글], MSA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있다.)
EC2, RDS, S3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기능들을 서비스한다. AWS만 이용해서 서비스 론칭까지 가능할 정도니까.. 어마어마한 분야를 다 지원한다고 보면 될 것 같다. 다만,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면 할수록 내 지갑은 홀쭉해진다는 단점은 있다. 오늘은 프로젝트를 하며 이용했던 서비스들 중 컴퓨팅 관련 기술인 EC2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2. EC2 (Elastic Compute Cloud)
간단하게 말하면 '클라우드 서버를 돌리기 위한 컴퓨터'를 의미한다. 기존에 서버를 돌리기 위해서는 서버를 돌리기 위한 물리적인 컴퓨터 한 대를 직접 구입하여 배치하고 이용해야했다. 이럴 때 가장 큰 단점은 1. 서버 컴퓨터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2. 서버를 키우거나 줄이기가 상당히 불편하고 초기 자본이 많이 들었다. 하지만 EC2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스턴스를 하나 구매하면, AWS로부터 서버 컴퓨터를 하나 구매하는 것과 같다. (정확히는 빌린다는 표현이 맞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찾을 수 있는 장점은 기존의 단점을 모두 해소한다. 공간이 필요하지도 않고, 이용한만큼만 요금이 청구되니까 큰돈이 들지도 않는다. 단, 서버를 늘리고 줄이는 것은 ELB의 영역인데, 이건 ELB를 소개할 때 설명하겠다. 그래도 상대적으로 기존보다 서버를 늘리고 줄이는데 간편하긴 하다. 또한, LINUX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운영체제를 지원하는데 이번에 MAC OS까지 추가되면서 엄청난 범용성을 보여준다. 여기서 운영체제를 지원한다는 것은 내가 가진 가정용 컴퓨터에 깔린 운영체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EC2 인스턴스 내부(즉, AWS로부터 빌린 컴퓨터)에 설치된 운영체제를 의미한다. 여튼 정리하면, 기존 서버 컴퓨터 단점을 거의 모두 해소한 완벽한 서비스라고 볼 수 있다. (요즘 클라우드 기술이 핫한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한 듯..?)
마지막으로 EC2에는 다양한 기능과 특징들이 존재하는데, 관련해서는 AWS 내 EC2 공식 문서를 확인하면 좋다. 다음에는 ELB, EB에 대한 정리를 해야겠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WS ELB, EB란? (0) | 2022.01.25 |
---|